예배팀모임
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먼저 "착한 양"이 됩니다. "착한 양"이 된 우리는 "착한 목자"가 되어 주님 다시 오실 때까지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전합니다.
예배팀 촬영 메뉴얼 2021-05
야외 예배 진행
변경사항
- 빔프로젝터로 예배 PPT 제공은 안 됨 (온라인 예배에서는 기존과 같이 진행)
- 추가적인 음향 장비가 없는 대신 FM 라디오로 통한 카오디오를 사용 (혹은 출력이 높은 라디오 기기가 있다면?)
- 20ft가 넘는 케이블로 기존 교회 음향 시스템에 연결 (건반, 기타 혹은 드럼)
- 영상송출은 Full HD로 변경해서 빠르게 업로드가 되고 유튜브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
해결해야 사항
- 스피커, 모니터 앰프가 없음: 스피콘 케이블 (speakon cable) 구입해서 교회 모니터 앰프를 연결해서 가져오는 것.
(우천시에는? 비닐로 싸서?)
- 유선 마이크 채널 추가 확보
- PPT 자리 변경 (어떻게 실내에서 실외로... 우선 노트북 1대 추가로 필요)
0) 모임 시간에 기도로 시작.
Job 배치
1)
음향 담당자: 음향 체크(앰프, 믹서, 오디오인터페이스, 맥북 확인 및 연결) 각각의 마이크 위치 지정
1~2명: 마이크&악보 스탠드, 키보드, 기타 설치, 각종 선 정리 / 단 정리(불필요한 것이 없는지 확인)
1명: 카메라 설치, 보조 전원 연결, 촬영 준비,
PD: 모든 과정을 체크
2) 예배팀 연습
음향 담당자는 음향 조정 (적절한 음량 확인은 게이지로 체크!)
촬영 담당자는 예배팀이 안전선 안에 들어오는 확인, 설치된 카메라의 수직, 수평 확인 그리고 카메라 초점 / 노출 / ISO 확인
3) 촬영
비대면 예배시에 음향 담당자와 촬영 담당자는 서슴치 말고 재촬영이 필요하다면 의견을 제시.
4) 정리
셋팅을 했던 담당자들이 역순으로 정리합니다.
=== 설명 내용 ===
1. 기본적인 Setting
1) 배치
(1) 촬영 위치
- 카메라를 과한 줌인을 하지 않는 위치,
- 눈높이보다 다소 높은 위치 (의자 4개로 삼각대(3개) 와 작업자(1개)로 위치 확보)
(2) 예배팀원들 각각의 위치 (+ 악기)
- 일자가 아닌 "V" 혹은 "U" 자 대형에 가깝게
(3) 불필요한 장비/물품 여부 확인 (촬영되지 않도록)
- 마이크, 악기 케이블들 선 정리
(4) 진행순서 숙지 (마이크 스탠드, 의자, 이동 여부)
- 큐싸인 한 후에 2-3초 후에 각각의 예배 순서를 진행
- 모든 팀원들은 각자 맡은 순서가 끝났더라도 2-3초 후 정도 있는 자리에서 조용히.
- 카메라 앵글에 잡히지 않도록 마이크 스탠드, 의자 등을 치움
- 피아노를 사용할 때에 마이크를 피아노에 설치
(5) 제대로 셋팅 되었는지 확인
- 키보드 페달 연결 확인
- 키보드 전원부분 스탠드에 돌려서(매듭으로) 연결
- 드럼 확인 / 직접 오디오인터페이스에 연결할지, 드럼앰프에 마이크로 설치로 수음할지.
- 어쿠스틱 기타 배터리 확인
- 악기 튜닝 확인
- 다이렉트 박스 설정 확인 (노이즈 발생 / 오디오인터페이스로의 입력소리가 낮을 때에 확인)
2) 영상
(0) 촬영 방식
- PP 결정: 오토 방식 혹은 s log2 (s log2 촬영시에는 ISO 를 최대로 낮게, 노출을 1.5 스텝 높게 함으로 암부 노이즈를 줄임)
- 혹은 HLG PP
- 4월 12일 예배 촬영 pp 설정값 : 검은색 레벨 0 / Gamma Movie / 컬러모드 ITU709 매트릭스 / 조리개, 포커스 오토 / 노출 +0.7 / ISO 오토
(1) 카메라 포커스 / 화이트 밸런스 확인 (조명 모두다 켜져 있는지 확인)
(2) 카메라 수평 확인과 대상들이 화면에 잘리지 않도록,
- 무리하게 측면에 있지 않도록 (안전선 안으로),
- 1대의 카메라 촬영이기에 정중앙으로
(3) 보조 배터리 혹은 추가 전원 확보
(4) 카메라 충분한 메모리 확인 (1회 촬영시에 보통 30~40gb 용량 필요하므로)
3) 음향
(1) 오디오인터페이스에 입력 채널 input 연결과 믹서/모니터에 output 연결
(2) Macbook에서 오디오인터페이스 인식 확인
로직프로 기본사항 <-- 링크
로직프로 기초강의 <-- 링크
(3) Macbook 전원 연결 / 필요시 재시동
3-1) 교회 음향 시스템
(1) 앰프 음량?게인? 수치는 모니터/스피커 14db 정도
(2) 믹서 음량은 -5 정도에 놓고 필요시 최대는 0 까지
(3) 믹서 채널별 게인은 0 부터 올려가며 셋팅
3-2) 오디오인터페이스 (Focusrite Clarett 8Pre)
(1) 마이크 / 악기 별로 채널로 설정 후 레벨 설정
(2) 임의대로(축적된 데이터로) / 모니터링 하면서 레벨 설정
(3) 설정한 셋팅 값을 메모 하기
템플렛으로 설정 <-- 링크
(3-1) 테스트 방법
- 현재 상황에서는 예배당에 들려지는 소리보다 녹음되어지는 소리가 더 중요하므로 녹음되는 소리를 모니터링.
(예배당에 들려지는 소리가 아닌)
- 모니터 음량으로 올려주기
- 각각의 악기별, 각각의 마이크 채널별로 테스트 (단지 소리 나오는 여부만 확인하는 것이 아님, ex 마이크 테스트 췍췍췍!!! 부터)
(4) 적절한 음량으로 셋팅 (대략적인 기준)
- 무엇보다 Clipping 클리핑이 뜨지 않는 범위 (클리핑이 되면 음이 찢어지는 소리가 들려짐)
- 메인 소리는 0-5 정도 (체크되어지는 소리 게이지가)
- BGM 소리는 18-20 정도 (체크되어지는 소리 게이지가)
- EQ 설정은 빼는 것으로 시작.
3-3) 오디오인터페이스 (UR12)
(1) 3-2) 사항과 동일
(2) 건반을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연결 방법 (현재 가지고 있는 환경에서)
- 건반 헤드폰 아웃 단자 1 에 연결한 케이블을 in, out 이 있는 다이렉트 박스 연결해 오고,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연결
- 건반 헤드폰 아웃 단자 2 에 액티브 앰프에 연결
- (가능하다면) 오디오 인터페이스 아웃 단자를 믹서에 연결하기 RCA 케이블로
2. 녹음
1) 라벨링 설정
(1) 새로운 파일 혹은 새로운 오디오 추가
- 재촬영으로 다시 하게 될 때에는 영상 촬영 순서와 일치하도록 (수월한 편집을 위해서)
(2) Take / 프로젝트 파일에 이름 수정
2) 녹음
(1) 원활한 편집을 위해 촬영하는 (큐사인) 시작 전 2-3초 전에 시작
(2) 원활한 편집을 위해 촬영하는 장면이 시작 후 2-3초 후에 멈춤
3) 문제 발생
(1) 피드백이 생길 때에
- 문제가 발생하는 채널 게인 값을 수정
- 위치를 확인 후 조정
(2) 찢어지는 소리가 날 때에
- 입력 단자의 게이지를 0-5 범위으로
- 채널에 오디오 이펙터가 비활성화로 (05.30)
(3) 재촬영/재녹음 시에
(4) 로직프로 에러
- 플러그 인들이 활성화 되었는지
- 인풋, 아웃풋 채널 확인
- 오디오인터페이스 썬더볼트 드라이버 설치 확인
- 오디오인터페이스 드라이버 설치 확인
3. 촬영
1) 촬영환경
(1) 캠코더가 아닌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하는 관계로 촬영하는 곳의 실내온도 비례해서 1회 촬영을 시간을 고려해야 함
- 센서 온도가 과열시에 촬영이 자동으로 중단되며 카메라의 수명 단축으로
(Rx100m5: 실내온도/기본설정시 25도의 온도에서 약 30분 촬영 가능.)
(2) 원활한 편집을 위해 촬영하는 장면이 시작 전 2-3초 전에 시작
(3) 원활한 편집을 위해 촬영하는 장면이 끝난 2-3초 정도 후에 멈춤
(4) 혹 선명한 화질을 위해서는 4K로 촬영하고 Full HD 로 내보내기
- RX100m5 으로는 불가능
4. 편집과 export
1) 유튜브 영상 업로드 가이드를 따름
2) 가급적 프로젝트 파일을 보관 (Consolidate Event Media 필히 설정)
논의: 4주치 영상 프로젝트 파일만 600Gb, 보관기간에 대해서.
랜더링 시간 단축 방법은
3) 4월 12일 예배 오디오 보정 과정 Voice De-noise / Normalize / Gain 수정 , 비디오편집프로그램에서 Gain 2차 수정
: Voice De-noise: 음량을 키우면 노이즈도 커짐.
: Normalize: 일정한 양의 게인을 적용해서 평균 진폭 또는 피크 진폭을 목표 수준으로 만듬.
: Gain 수정: 증폭 (소리를 키우는 것)
피드백: 목사님의 마이크 보완 필요 / 오디오인터페이스에서 적절한 음량으로 레코딩 하기
온라인 예배 시행착오
오디오가 제대로 녹음이 되지 않았음.
- 프로그램 교체 (오디션 -> 로직프로)
- 로직프로 강좌로 교육
- 녹음을 한 다음 모든 채널이 녹음이 되고 있는지 필히 확인. 빨간색으로 녹음 진행을 표시됨 (05.17)
소리가 작게 들려짐
- 영상편집시에 오디오 게인을 +12(편집프로그램에서 최대치) 으로 올렸음에도 역부족
- 이후 오디오 녹음을 할 때에 인풋 게이지를 올렸더니 녹음된 오디오에서 클리핑 현상 발생
- 이후 컴프레서, 리미터, 맥시마이저 등등의 설정으로 보완해서 인풋게이지를 크게 해서 받을 수 있었음.
- 새로운 오디오인터페이스를 통한 셋팅값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. (현재 진행중 5월 10일)
- 설교자 핀 마이크를 추가로 사용해서 안정된 음원을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음.
녹음된 음원에 노이즈 발생 (히스노이즈 등)
- 오디오 편집프로그램으로 노이즈 제거 (이후 왜곡이 되었는지 확인)
- 선풍기 같은 팬 소리 (05.17)
오디오 인터페이스 운용의 미숙함.
- 아웃풋 라우팅 이해 부족으로 신호는 잡히지만 들려지지 않았음.
- 셋팅 테스트를 2차례에 걸쳐서 진행되었고, 메뉴얼을 구축했음.
담당자가 없을 때에 대처
- 05.17
영상 렌더링이 실패 마지막으로 렌더링이 된 부분의 영상을 확인.
- 휴대폰 영상으로 받은 영상들에서 오류가 발생. 외부 영상 파일은 별도로 인코딩을 걸쳐서 사용하기. 렌더링 오류가 나면 시간적 손해가 너무 큼. (당시 10시간 가까이 시간 소요됨)
영상 프로그램이 버벅 거릴 때에
- 프로그램 혹은 컴퓨터(노트북) 재시작/재시동 하기 (05.17)
카메라 변경 전 (RX100m5) 영상 품질이 떨어짐
- 랜더링 익스포트 설정을 유튜브 업로드 가이드에 맞게 수정
- 카메라 촬영 위치를 가깝게 했더니 좋아 졌으나 설교자의 손이 크게 보여지는 현상 발생
카메라 변경 후 (AX700) 영상 품질이 기대 이상으로 좋아지지 않음.
- 설정한 촬영 픽처프로필 값이 적절하지 않아서 수정.
- 초점 조절 확인
- AF 민감도 설정 변경/확인
- 촬영시 노출을 조절함으로 화질을 끌어올림.
- 본촬영을 하기 전에 모니터가 없음으로 노트북으로 확인하기. 현재 촬영 픽쳐프로파일은 HLG 3 으로 진행하므로 Rec 709 으로 변환해서 확인을 해야 올바른 모니터링이 가능. HLG 3 설정 값을 못 찾을 경우 Cine 2으로 진행.
원본
Rec709 로 색공간 변경
렌더링 된 파일을 확인했을 때에 영상에서 문제가 발생. 뒷배경이 검게 깜빡거림.
-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렌더링을 했음에도 동일한 문제 발생.
- 해당 영상 효과를 변경해서 문제를 해결함.
영상편집시 색교정, 색보정 방법에 대해
-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모니터가 없기에 다른 사람들의 화면/의견을 반영 중.
오디오 싱크 쉽게 하기.
- 슬레이트 치기! = 박수치기
자막사고, 어린이&청소년 교회 오디오 싱크 불일치
- 노트북 고장으로 성능 하락(버벅거림)으로 익스포트 하기전 제대로 문제 없게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힘듬.
유튜브 업로드 오류/실패 방지
- 맥북 잠자기 방지
- 지켜보고 있기
작업순서 구축으로 인해 편집 시간 단축하여 현재 12시간 정도로 단축 (2시 예배 영상 기준)
- 촬영 순서를 큐시트에 맞게 진행하며 최대한 한 테이크로 끝내도록 진행 중.
- 촬영한 영상과 녹음된 오디오 라벨링 (20분)
- 오디오작업 (2시간~3시간) -> 단축 가능 (목표 1시간)
- PPT 작업 (30분 ~ 1시간)
- 영상 컷편집 (30분)
- 색교정/보정 (1시간) -> 단축 가능 (목표 20분)
- 오디오 영상 싱크 (30분) -> 단축 가능 (목표 5분)
- 자막 (2시간) -> 단축 일부 가능
- 확인 (1시간)
- 익스포트 (최소 4시간, 장비 구입으로 3배 이상 단축됨)
- 유튜브 업로드&썸네일 (2시간)
- 홈페이지/단톡방 공지(10분)
영상 편집이 끝난 작업파일 관리
- 현재 모든 작업 파일을 보관 중 (2.5TB 사용중 외장하드 용량 4TB)
- 최근 파일만 보관 중 (05.17)
0307 촬영
문제.
화면 녹화 할 때에 오디오 녹음을 on 했더니
로직프로에서 녹음할 때에 충돌 발생.
1 정 중앙으로 변경
카메라 앵글을 변경해야 하나?
안 해도 될까? 왜냐하면 4:3 ppt 화면이니 영상에 삽입하는 것이 괜찮을것.
포커스인을 하면 Ppt 화면을 넣는 것이 괜찮을까?
2 화면 녹화, 오디오 녹음, 진행.
3 외부 조명 없이 - f3.7/ iso 1000/ 60/
4 순서는 하단 자막으로 넣는 것은? 다른 교회들은 어떻게 했는가?
5 ppt 화면이 없을 때에 컷, 화면 프레임을 넣기
6 추후 조명은 어디에 위치해야 할까? 조명 거리, 방향.